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밀워키 브루어스

덤프버전 :

||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모자 로고구단 로고
밀워키 브루어스
Milwaukee Brewers
창단1969년(55주년)
연고지위스콘신 밀워키[1]
연고지 변천시애틀 (1969)
밀워키 (1970~)
구단명 변천시애틀 파일러츠 (Seattle Pilots, 1969)
밀워키 브루어스 (Milwaukee Brewers, 1970~)
소속 변천아메리칸 리그 (1969~1997)
- 서부 지구 (1969~1971)
- 동부 지구 (1972~1993)
- 중부 지구 (1994~1997)
내셔널 리그 (1998~)
- 중부 지구 (1998~)
홈 구장식스 스타디움 (Sick's Stadium, 1969)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 (Milwaukee County Stadium, 1970~2000)[2]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American Family Field, 2001~)
구단주마크 아타나시오 (Mark Attanasio)
사장[3]맷 아놀드 (Matt Arnold)
단장
감독팻 머피 (Pat Murphy)
역대 한국인 메이저 선수최지만 (2018)
역대 한국인 마이너 선수박철순 (1980~1981)
최지만 (2018)
역대 한국계 마이너 선수이원국[4] (1970)
로컬 경기 중계Bally Sports Wisconsin
약칭MIL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아메리칸 리그
(1회)
1982
NL 지구
(4회)
2011, 2018, 2021, 2023
AL 지구
(2회)
1981[5], 1982
NL 와일드카드
(3회)
2008, 2019, 2020
포스트시즌 진출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브루어스 네이비 브루어스 옐로 브루어스 블루
유니폼
파일:group01-copy_750xx1320-743-0-2.jpg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593 - (2011년 162경기 96승 66패)
최다 승96승 - (2011년 162경기 96승 66패, 2018년 163경기 96승 67패)
최다 패106패 - (2002년 162경기 56승 106패)
최다 관중3,071,373명 - 2011년
최고 계약$215,000,000 - 2020년 크리스티안 옐리치

1. 개요
3. 이모저모
3.1. 라이벌리
3.2. 한국과의 관계
3.3. 마스코트
3.4. 홈 구장
3.5. 영구결번
4. 역대 감독
5.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5.1. 트리플 A
5.2. 더블 A
5.3. 싱글 A
5.3.1. 하이 싱글 A
5.3.2. 로우 싱글 A
5.4. 루키
6. 40인 로스터 목록
7. 관련 링크



1. 개요[편집]


MLB의 프로야구단. 내셔널 리그/중부 지구 소속. 연고지는 위스콘신 주 밀워키.

팀명인 브루어스는 밀워키가 미국 제1의 맥주 양조 도시이기 때문에 붙었다.[6] 그래서인지 국내 팬들은 '맥주네'라고 부르기도 한다.[7] 현지에서 불리는 애칭은 Brew Crew.

메이저 리그 30개 팀 중 소속 도시 광역권[8] 인구가 제일 적은 팀[9][10][11] 이지만, 매년 관중 10~15위를 오갈만큼 팬들의 충성도가 대단한 팀이다.[12]

아직까지 월드 시리즈 우승이 없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올린 적은 많지 않지만, 모범적인 스몰마켓 팀 중 하나로서 다크호스 자리는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브루어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 버니 맥 주연의 Mr.3000이 있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밀워키 브루어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이모저모[편집]



3.1. 라이벌리[편집]


과거 아메리칸 리그 시절에는 유서깊은 위스콘신-미네소타 라이벌리의 일환으로 미네소타 트윈스와 대립각을 형성했다.[13] 이러한 경향은 최근 인터리그 대결에서도 자주 보이고 있다.[14] 흥미롭게도 밀워키 브루어스의 영구결번급 레전드 중 폴 몰리터는 트윈 시티 출신의 미네소타 토박이이고 쌍둥이네에서 감독생활을 했다. 현재는 구단 자문역으로 들어가서 활동하고 있다.

파일:external/nationalpostsports.files.wordpress.com/braun.jpg
그리고 2000년대 후반 들어 미국에서는 브루어스에 대해 "젊음을 앞세운 패기있는 팀"의 이미지가 있다고 평한다. 미국 야구계가 전반적으로 엄숙하고 보수적인 가운데에서도 2011 포스트시즌에 보여준 위 사진의 '비스트 모드(Beast Mode)' 셀레브레이션이나 프린스 필더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 워크오프 셀레브레이션 등 기존의 시각에서는 다소 버릇 없어 보이면서도 톡톡 튀는 모습을 앞세워 팬을 끌어모으는 중. 이 때문에 2011 NLCS를 전후하여 기존의 엄숙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앞세운 올드스쿨 야구를 지향하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라이벌리가 형성되고 있다. 민훈기 기자의 칼럼 참조. 실제로 2020시즌, 야디어 몰리나라이언 브론이 배트 스윙을 놓고 설전을 벌이다가 벤클까지 갔었다. 사나운 횽아들

3.2. 한국과의 관계[편집]


KBO 리그최초의 외국인 감독으로 롯데 자이언츠의 감독이었던 제리 로이스터가 2002년 감독을 맡기도 했던 팀. 투수진이 무너지고 타격이 무너져서 원래 감독이었던 데이비 롭스가 15경기만에 짤리는 바람에 코치였던 로이스터가 대타로 들어온 상황이라 어찌 손 쓸 방법이 없긴 했다. 저 당시 에이스 벤 시츠는 자주 DL에 들락날락 했었고, 중심타선에 제로미 버니츠, 제프 젠킨스, 리치 섹슨 등의 화끈한 공갈포들이 있던, 꿈도 희망도 없던 팀이었다.

박철순이 이 팀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뛴 바 있다. 박철순은 한국으로 복귀하기 바로 직전 시즌인 1981 시즌에 더블A에서 우수 투수로 뽑혀 브루어스 구단 측에서도 꽤 기대를 하고 아꼈던 유망주였다. 당시에 조금만 가다듬으면 메이저리그 콜업도 가능하다는 평을 들었을 정도였다. 그래서 브루어스 프런트에서 한국 측 관계자를 만나면 농담조로 "한국이 우리 팀의 전도유망한 유망주를 낚아챘다"라는 농담을 건네기도 한다고.[15]

한국에는 팬이 많지 않은 편. 워낙 전통의 약팀이라 한창 메이저리그 붐이 일어날 때 그저 그런 팀이라 인기가 별로였다.[16] 그리고 시카고 컵스, 뉴욕 메츠와 함께 박찬호호구이기도 했는데, 2001년 박찬호에게 생애 두 번째 완봉승을 헌납했을 정도였으니. 기본적으로 워낙 스몰마켓인 것도 있고. 미네소타 트윈스와 함께 메이저리그 퇴출설이 나돌던 팀이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강정호가 있던 피츠버그와 같은 지구에 있는 데다가 피츠버그에게는 매우 강한 팀이다.

2016년 11월 29일 NC 다이노스에릭 테임즈가 3년간의 한국 생활을 마치고 뛰게 되었다. 외야뎁스가 충분한 밀워키인지라 아마도 방출된 크리스 카터 대신 1루수를 맡게될 것으로 보인다. 현지 밀워키 팬들은 삼진머신이기는 했지만 41홈런을 칠 정도로 한방이 있는 거포 카터를 내보내고 데려온 것이 메이저리그에서 잉여로 있다가 4년을 한국에서 뛰고 온 테임즈냐며 불만들을 토로하는 모양. 그러나 이후, 테임즈는 준수한 활약과 유쾌한 캐릭터로 2020 시즌을 앞두고 팀을 떠나기 전까지 밀워키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2017년 한화에서 뛰었던 카를로스 비야누에바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몸담으며 20승을 거두었고, 은퇴 이후 밀워키의 프런트로 일하고 있다.

2018년 1월 15일 최지만과 계약하면서 한국인 선수와는 37년 만에 인연을 맺었다. 총액 150만 달러지만 전액 보장이 아닌 스플릿 계약이며 최지만이 에릭 테임즈와 헤수스 아귈라의 자리를 뚫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였고 예상대로 극히 제한된 기회만 부여받은 채 팀을 떠났다.

2018년 1월 27일 로렌조 케인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왕웨이중이 방출되었고 곧이어 NC 다이노스가 영입을 발표했다. 여러모로 NC 다이노스와 접점이 생기는 중이다.

2019년 12월 12일 조쉬 린드블럼을 3년 912만 5000달러에 영입하며 테임즈에 이어 또 다시 KBO 외국인 선수를 다년 계약으로 영입했다.

2020년 카를로스 비야누에바의 추천으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밀워키의 내야, 1루 주루코치를 맡았던 카를로스 수베로가 한화이글스의 12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3.3. 마스코트[편집]


파일:external/usatftw.files.wordpress.com/ap-braves-brewers-baseball.jpg
메인 마스코트인 버니 브루어. 버니 브루어가 안고 있는 개는 후술할 행크라는 마스코트이다.

파일:external/radio.foxnews.com/2-27-Missing-Sausage.jpg
소시지 레이스 준비중!
안주 형제

버니 브루어[17]와 소시지 5마리(?) 가 마스코트 이다. 팀 이름답게 맥주에 걸맞는 안주감인 소시지가 마스코트가 된 모양. 오오 맥주네! 오오

저들은 밀러파크에서 열리는 밀워키 홈경기 중 6회말이 종료되면 그라운드로 나와 서로 치고받으며 그라운드에서 경주를 하는 퍼포먼스를 연출한다. 일명 "THE FAMOUS RACING SAUSAGES™"[19]

파일:external/cdn.rsvlts.com/Hank-The-Dog-Milwaukee-Brewers-010.jpg
이 강아지는 2014년 애리조나 피닉스에서 열린 밀워키의 스프링캠프에 있던 유기견으로, 교통사고를 당한 것을 구단 관계자가 발견하여 극적으로 구조한 뒤 스프링캠프지에서 거둬들여 선수들과 함께 잘 돌봐 주었다고 한다. 이 사연을 안 팬들은 구단에 강아지를 데려가자고 건의했고, 유기견이라 주인도 없었기 때문에 구단도 이를 받아들여 강아지에게 행크 애런의 이름을 따서 행크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구단에 마스코트이자 백넘버 "01"번으로 영입했다. 입단식(?)에서부터 인기가 폭발해서 팬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으며 밀워키 구단 측에서도 행크 굿즈를 출시하여 불티나게 팔린다고 한다.

3.4. 홈 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영구결번[편집]


||


1. 버드 셀릭 (Bud Selig): 메이저리그의 제9대 커미셔너. 1998년부터 2014년까지 메이저리그 커미셔너로 있으면서 지금의 메이저리그 황금기를 일궈낸 인물이다. 위의 팀 창단 및 역사에도 나왔지만, 밀워키 브루어스의 창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커미셔너로서도 눈부신 활약을 했던 것에 대한 감사표시로 구단이 1번을 특별히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커미셔너 은퇴 후에는 다시 브루어스 팬으로 돌아가서 기념행사에 얼굴을 비추고 있다.

4. 폴 몰리터 (Paul Molitor): 통산 504도루 3319안타를 자랑하는 내야수이자, 지명타자.[20] 밀워키에서 커리어의 상당수를 보낸 밀워키의 프랜차이즈 스타. 다만, 말년에 우승 반지를 위해 토론토로 건너갔고, 결국 우승반지를 얻고 은퇴는 고향이자 라이벌 미네소타에서 했다. 그래도 밀워키 최고의 스타. 쿠퍼스타운에도 밀워키 모자 쓰고 갔다. 2015년 시즌에 미네소타의 감독에 선임되었다.

19. 로빈 욘트 (Robin Yount): 밀워키에서만 20년을 뛰고 은퇴한 스타.(1974~1993) 유격수와 중견수로 활약하면서 통산 3142안타를 기록한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 앞서 설명했지만 두 포지션에서 시즌 MVP를 수상한 유일한 선수다. 브루어스에서 기념행사(자기 관련이 아니라도)를 하면 절대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등 브루어스의 진정한 프랜차이즈 스타이다.

34. 롤리 핑거스 (Rollie Fingers): 통산 114승 341세이브를 기록한 마무리 투수이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밀워키에서 보냈다. 1981년 리그 MVP와 1982년 밀워키의 월드시리즈 진출의 주역이었다. 그래서 뛴 햇수는 단 5년이지만, 그 공로로 영구결번을 줬다.

42. 재키 로빈슨 (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결번.

44. 행크 애런 (Hank Aaron): 브루어스에서 뛴 것은 은퇴 전 단 2년. 하지만, 밀워키 브레이브스 시절 밀워키 시민들에게 보여준 무수히 많은 홈런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영구결번을 안겨줬다. 2021 시즌엔 그의 별세를 추념하고자 브루어스 유니폼 왼팔에 44번 패치를 부착한다.

밥 유커 (Bob Uecker): 밀워키의 포수 출신 해설자. 밀워키에서는 단지 2년만 선수로 뛰었을 뿐이다. 총 메이저리거로 뛴 햇수는 5년. 심지어 명예의 전당 투수 게일로드 페리는 웨커에게 홈런을 맞고 저딴 놈에게 홈런을 맞다니 쪽팔려서 고개를 들 수가 없다고 했을 정도. 그러나 1970년 메이저리거 최초로 라디오 중계 해설자로 변신한 뒤, 야구선수 경험에서 나오는 야구 상식과 유머[21]Mr. Baseball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기보다는 자칭 Mr. Baseball이 타칭으로까지 발전한 케이스. 너클볼을 받는 최고의 방법은 공이 회전을 완전히 멈추길 기다리는 것이다. 그리고 주우면 된다.는 명언을 남긴 바 있다. 2021년 해설 50주년을 맞았다.

이 외에도 밀워키에서만 모든 커리어를 보내고 은퇴한 짐 갠트너(Jim Gantner)의 17번은 1992년 이후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고 있다.

4. 역대 감독[편집]


밀워키 브루어스 역대 감독
시애틀 파일러츠(1969)
순서이름재임기간성적비고
1대조 스컬츠196964승 98패 1무-
밀워키 브루어스(1970~1993)
순서이름재임기간성적비고
2대데이브 브리스톨1970~1972144승 209패 1무-
3대로이 맥밀런19721승 1패-
4대델 크랜달1972~1975271승 338패-
5대하비 쿠엔19751승-
6대알렉스 그라마스1976~1977133승 190패-
7대조지 밤버거1978~1979188승 135패-
8대벅 로저스198026승 21패-
9대조지 밤버거198047승 45패-
10대벅 로저스1980~198298승 81패-
11대하비 쿠엔1982~1983159승 118패 1무1982년 AL 우승
12대린 래치먼198467승 94패-
13대조지 밤버거1985~1986142승 171패-
14대톰 트래벨혼1986~1991422승 397패-
밀워키 브루어스(1994~2019)
순서이름재임기간성적비고
15대필 가너1992~1999536승 617패-
16대짐 루피버199922승 27패-
17대데이비 로페스2000~2002144승 195패 1무-
18대제리 로이스터200253승 94패-
19대네드 요스트2003~2008457승 502패-
20대데일 스와임20087승 5패-
21대켄 마카2009~2010157승 167패-
22대론 로니키2011~2015342승 331패-
밀워키 브루어스(2020~)
순서이름재임기간성적비고
23대크레이그 카운셀2015~434승 412패-

5.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편집]



5.1. 트리플 A[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71d49><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8102e> 15 부실리 · 28 카스타네다 · 29 가서 · 35 콘트레라스 · 40 허브 · 50 블랙 · 52 하디 · 64 와일스 · 80 마이어스 · 85 라자르 · # 예거 · # 알렉산더 · # 맥켄드리 ||
|| 포수 || 11 나바레토 · # 헨리 ||
|| 내야수 || 1 모나스테리오 · 3 데반니 · 12 도리안 · 63 알바레즈 · 94 콜린스 ||
|| 외야수 || 8 프레릭 · 21 추리오 ||
||<-2> 파일:미국 국기.svg 릭 스위트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아카르도 파일:미국 국기.svg 알 르버프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맥거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리우 로드리게스 · 파일:미국 국기.svg 네드 요스트 4세 ||
||<-2><bgcolor=#eeeeee,#000000>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밀워키 브루어스 40인 로스터 보기 ||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
내슈빌 사운즈
Nashville Sounds
창단1978년
계약년도2021년
소속리그/지구인터내셔널 리그 서부지구
연고지테네시내슈빌
홈 구장퍼스트 호라이즌 파크
감독릭 스위트
타격코치알 르버프
투수코치제레미 아카르도
불펜코치패트릭 맥거프
코치리우 로드리게스, 네드 요스트 4세

5.2. 더블 A[편집]


파일:빌록시 셔커스 엠블럼.svg
빌록시 셔커스
Biloxi Shuckers
창단1978년
계약년도2015년
소속리그/지구서던 리그/북부지구
연고지미시시피 주 빌록시
홈 구장MGM 파크
감독마이크 게레로
벤치코치닉 스탠리
타격코치처키 코필드
투수코치윌 슈어홀츠
불펜코치조시 스펜스

5.3. 싱글 A[편집]



5.3.1. 하이 싱글 A[편집]


파일:위스콘신 팀버 래틀러스 엠블럼.svg
위스콘신 팀버 래틀러스
Wisconsin Timber Rattlers
창단1891년
계약년도2009년
소속리그/지구미드웨스트 리그/서부지구
연고지위스콘신 주 애플턴
홈 구장팀 워너 케이블 필드 앳 폭스 시티즈 스타디움
감독조 아이롤트
벤치코치데이비드 투포
타격코치켄 조이스
투수코치드류 토마스
발전코치브라이언 델가도

5.3.2. 로우 싱글 A[편집]


파일:캐롤라이나 머드캐츠 엠블럼.svg
캐롤라이나 머드캐츠
Carolina Mudcats
창단1978년
계약년도2017년
소속리그/지구캐롤라이나 리그/남부지구
연고지노스캐롤라이나 주 제브론
홈 구장파이브 카운티 스타디움
감독빅터 에스테베즈
타격코치JJ 리머
투수코치마이클 오닐
불펜코치호르헤 오르테가
발전코치데이비드 발데스


5.4. 루키[편집]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ACL 브루어스
Arizona Complex League Brewers
창단1988년
계약년도1988년
소속리그/지구애리조나 컴플렉스 리그/중부지구
연고지애리조나피닉스
홈 구장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오브 피닉스
감독라파엘 네다
타격코치마이크 하바스, C.J. 레더포드
투수코치이람 부르고스, 폴 모엘러
발전코치자니 바베이토, 토미 맥마누스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DSL 브루어스
Dominican Summer League Brewers
창단1989년
계약년도1991년
소속리그/지구도미니카 섬머 리그/북부지구
연고지산 페드로 데 마코리스 주 라몬 산타나
홈 구장타워 컴플렉스
감독피델 페냐(1)
나타나엘 메히아(2)
타격코치호세 가르시아(1)
오스틴 터너(2)
투수코치후안 산도발(1)
헤수스 에르난데스(2)
발전코치블레이크 네이튼(1)
데이브 벅스턴(2)
코치요안 아브레우, 로빈슨 디아스(1)
호세 페냐(2)

6. 40인 로스터 목록[편집]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밀워키 브루어스
2024 시즌 40인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2284b><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ffc52f> 20 마일리 · 26 애쉬비 · 29 메길 · 31 파이암프스 · 38 윌리엄스 · 39 번스 · 43 스몰 · 45 우리베 · 46 B.윌슨 · 47 앤드류스 · 48 레이 · 50 부카우스카스 · 51 페랄타 · 54 비에이라 · 55 밀너 · 56 정크 · 59 페게로 · # 블레이락 · # 로스 · # 클라크 ||
|| 포수 || 24 콘트레라스 · # 쿠에로 · # 하스 ||
|| 내야수 || 2 투랑 · 6 밀러 · 12 존스 · 14 모나스테리오 · 27 아다메스 · # 카프라 · # ||
|| 외야수 || 5 미첼 · 10 프렐릭 · 11 추리오 · 16 퍼킨스 · 22 옐리치 · 28 위머 · # 롤러 · # 바우어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팻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윅스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훅 파일:캐나다 국기.svg 짐 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도슨 · 파일:미국 국기.svg 아지 티몬스 파일:미국 국기.svg 퀸틴 베리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찰리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워커 맥킨벤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데 몬데서트 · 파일:미국 국기.svg 애덤 와이젠버거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네스터 코레도르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7. 관련 링크[편집]




[1] 아메리칸 리그 시절엔 미네소타 트윈스와 치열한 라이벌리를 형성했다. 위스콘신미네소타 두 주의 스포츠는 프로부터 대학 스포츠까지 종목을 불문하고 지역감정이 섞인 라이벌리로 얼룩져 있다.[2] 94년까지 NFL 그린베이 패커스와 공용[3] 공식 직함은 'President of Baseball Operations'.[4] 멕시코명은 에르네스토 카를로스(Ernesto Carlos). 한국계 멕시코인.[5] AL 동부지구 후기리그 우승[6] 미국의 맥주회사인 밀러사의 본사가 여기에 위치하고 있다.[7] 최근에는 팀이 스몰마켓이지만 유망주를 희생해서라도 공격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지향하여 남자의 팀이라는 별명도 얻었다.[8] 미국은 넓은 지역에서 팬들이 몰려들기 때문에 소속 도시만이 아니라 광역권 인구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구의 소득 수준까지 고려해야 더 정확한 마켓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겠지만.[9] 2019년 기준 2위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3위는 캔자스시티 로열스, 4위는 신시내티 레즈, 5위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인데, 러스트 벨트의 영향인지 유독 중부 지구 소속팀이 순위권에 많다. 명문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도 7위.[10] 이렇게 된 이유는 그 동네 대부분이 쇠락한 도시이기 때문. 야구팀이 생길 당시에는 큰 도시였으나,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구가 유출되고, 서부개발로 더 인구가 많은 도시들이 생겨남에 따라 인구수가 적은 지역이 되어버린 것. 대부분 공업이나 제조업으로 성장하였다가 제조업 몰락으로 쇠락한 오대호 주변 도시들 또는 경제성장 동력이 없는 지방 중심 도시들이다.[11] 그 덕에 프랜차이즈 이동이 잦은 곳이다. 애틀랜타로 옮겨간 브레이브스도 마켓규모가 적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그리고 당시 남부엔 야구팀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이동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이기도 했다.[12] 2007년부터 2019년까지, 2016년 단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평균 관중 3만명을 넘겼으며, 그 중 6번은 3만 5천명도 넘겼을 정도이다. 단 밀워키 도시 자체가 시카고에서 1시간 반 정도 거리로 그다지 멀지 않아서 시카고에서 넘어오는 사람들도 많은 편.[13] 미식축구의 그린베이 패커스미네소타 바이킹스, NBA에서 밀워키 벅스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도 피터지는 라이벌이다. 팀버울브스는 폭망한 것이 함정 [14] 매년 아메리칸 리그 지구를 한개씩 돌리며 일정이 짜지는 인터리그에서도 미네소타와의 인터리그는 4연전으로 항상 배정된다. 홈2연전 원정2연전 이런 방식으로.[15] 당시 AAA 콜업까지 약속을 받은 상태에서 박철순이 오프시즌 동안 한국에 귀국하였고, 그때 프로야구가 만들어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흔들리는 박철순을 두산에서 꼬셔냈다. 실제로 박철순이 한국에서 오지 않았을때 밀워키 측에선 한국의 정치문제로 박철순이 납치 된줄 알았다고. 결국 두산측에서 트레이드 머니를 건네며 해결되었다.[16] 로이스터가 감독하던 시절.[17] 브루어스 선수가 홈런을 치면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마스코트다.[18] 정리해보면 1. 독일, 2.폴란드, 3. 이탈리아, 4.미국, 그리고 5.멕시코로 예측이된다.[19] 저기 있는 소시지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1.Brat 2. Polish Sausage 3. Italian Sausage 4. Hot Dog 5. Chorizo.[18][20] 역대 HOFer 중 커리어 출장경기 수의 절반 이상을 DH로 출전한 유일한 선수다.[21] 굳이 한국에서 따지면 이병훈과 비슷한 스타일이다.

관련 문서